픽셀(pixel)

우리가 보는 디스플레이는 점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화소, 도트(dot), 픽셀(pixel)이라고 부릅니다.
하나의 점은 Red, Green, Blue 라는 세가지 색상으로 표현됩니다. 
하드웨어적으로 표현하면 RGB 각각의 빛을 내는 라이트가 빛나는 정도를 통해서 1개의 픽셀을 표현합니다. 색채학에서는 빛을 이용한 가산혼합(색이 더 해질 수록 밝아짐)으로 분류 됩니다.
  
레티나(retina) 디스플레이라고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애플의 여러 제품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LED의 한 종류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바일보다 해상도가 높아서 선명하게  화면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좋은만큼 가격도 비쌉니다.

출처 : https://appleinsider.com/articles/23/02/16/what-a-retina-display-is-and-why-it-matters

레티나 디스플레이는 사용되는 기종에 따라 픽셀의 밀도는 다릅니다. 장비를 사용하게 되는 환경에 따라서 손에 들고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까이서 보게되고, 노트북이나 패드의 경우 손으로 들때보다는 멀리서 두기 때문에 화질에 대한 품질에 따라서 서로 다른 픽셀의 밀도로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게 됩니다. 이러한 밀도를 PPI(Pixel Per Inch)로 부릅니다. 1인치에 몇개의 픽셀이 들어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최근 이슈가 된 애플의 비전프로의 경우 micro OLED를 사용해서 4000ppi에 해당합니다.

눈 바로 앞에 위치하는 비전프로 4000ppi
손으로 들고 하는 아이폰 326ppi
아이패드 132ppi
 
이러한 밀도의 차이는 눈의로 볼때 하나의 픽셀이 잘 구분할 수 없는 한계치에 맞춰서 제작이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애플이 아닌 일반적인 사무용 모니터의 경우 32인치(FHD해상도) 기준으로 72ppi로 제작이 됩니다.

출처 : https://www.quora.com/What-is-pixel-per-inch-in-mobile

또다른 기술적인 기준으로 PPD(Pixel Per Degree)로 1도라는 각도 범위 안에 몇 픽셀을 배치하느냐를 따지기도 합니다. 시야각을 기준으로 1도의 범위에 거리에 따라 몇 픽셀을 보여주는것이 최적의 값이 되는지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